티스토리 뷰

내년 최저임금은 만원을 넘을지 안넘을지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십니다. 기사에 따르면, 빠르면 오늘 7월 18일 밤, 2024년 최저임금 월급 시급이 결정날 것 같습니다. 각 노동계와 경영계측에서 요구하는 시급에 대해서도 알아보고, 현재 제도 개편이 필요하다는 주휴수당도 사라질지 어떻게 바뀔지에 대해서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2024년 최저임금 시급은 얼마?
최저임금은 매년 3월 31일까지 다음연도 최저임금 심의요청을 하면, 약 3달간 고용노동부 산하의 최저임금 위원회에서 자료분석 및 의견취합, 논의를 거쳐 심의요청을 받은 날로부터 90일 이내에 제출해야 합니다. 이에 대한 이의가 없을 경우 8월 5일까지 최저임금을 결정 확정을 해야합니다. 당초 저번주 내로 결정되어야 했던 2024년 최저시급은 끝내 합의하지 못하고 오늘 7월 18일까지 계속해서 협의중입니다.이는 22년만에 역대 가장 늦게 의결된 해로 기록될 예정입니다.
사상 처음으로 1만원을 돌파할지 최고의 쟁점입니다. 참고로 최근 5년간 최저임금 추이는 아래와 같습니다.
인상률이 3,95%이상이면 내년 2024년 최저임금은 1만원이 넘어설 것으로 예상됩니다. 2023년 최저임금 시급은 현재 9,620원이고 일 8시간 근무 기준 최저임금 일급은 76,960원, 주 40시간 근무시 주휴수당 포함 2,010,580원입니다.
노동계와 경영계측에서 요구하는 최저시급의 격차는 2,590원정도로 컸으나, 현재 835원까지 격차를 좁혀왔으며, 현재 2024년 최저임금 수준을 각각 10,620원과 9,785원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월급 시급을 계산해보겠습니다.
예상 시급으로 월급 계산해볼 때
2024년 최저임금 시급이 10,620원일 때는 하루 근무시간 8시간 기준 일급은 84,960원입니다. 한달 근무를 만근할 경우, 주휴수당을 고려한 평균 209시간을 곱하는 데요, 위 시급으로 계산시 최저임금 월급은 2,219,580원이 됩니다. 연봉으로 계산하면 26,634,960원이 되겠습니다.
- 시급 10,620원 --> 일급 84,960원 --> 월급 2,219,580원 --> 26,634,960원
2024년 최저임금이 9,785원일 대에는 동일하게 계산하면 하루 8시간 기준 일급은 78,280원, 월급 2,045,065원 입니다. 그럼 동일하게 연봉으로 계산하면 24,540,780원이 되겠습니다.
- 시급 9,785원 --> 일급 78,280원 --> 2,219,580원 --> 24,540,780원
2024년 최저임금 시급 법정 고시일은 8월 5일까지 이지만, 토요일이기 때문에 오는 8월 7일 최종 고시될 예정이며, 실제 금액이 발표되면 다시 공유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주휴수당 폐지? 계산방법?
최저임금을 올리는 상황에서 현재 2023년 시급도 이미 높기 때문에 더 올라간다면 자영업자들의 부담이 더 커지게 되는 데요, 실제로 그래서 주휴수당 관련하여 현재 최저임금만큼이나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주휴수당은 근로자가 유급 주휴일에 받는 임금을 말합니다. 쉽게 말하면 월~금요일 일하는 직장인들에게는 주말 중 하루는 무급휴일, 하루는 유급휴일로 쉬는 날에 대하여 1회 유급으로 보장한다는 것입니다. 이는 주 15시간 이상 일하는 근로자에게 보장되고 있으며, 딱히 법으로 정하는 요일은 없고 근로형태에 따라 전부 다를 수 있습니다.
주휴수당은 일당으로 계산하는 데요, 1일 소정근로시간 * 시급 으로 계산합니다. 최저임금을 받는 분들은 최저시급을 넣어주시면 되고, 월급직에 해당하시는 분들은 각자의 시급이 있으니 그걸로 계산해주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