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1] 긴급재난지원금 건강보험료 기준
긴급재난지원금 지급 대상은 소득 하위 70% 이하 1400만 가구이며, 가구원 수별 차등 지급하여 1인 가구 40만원, 2인 가구 60만원, 3인가구 80만원, 4인 이상 가구 100만원을 지급하기로 했습니다. 지급은 지자체에서 활용중인 지역 상품권 혹은 선불카드 (전자화폐) 형태로 지급됩니다.
정부는 긴급재난지원금 건강보험료 기준을 2020년 3월로 정하고, 3월 건강보험료 기준으로 합산액이 소득 하위 70% (기준 중위소득 150%) 에 해당하는 가구에게 긴급재난지원금을 지급합니다. 건강보험 미가입 가구인 의료급여 수급가구도 지원대상에 포함됩니다.
우선 아래에 긴급재난 지원금 건강보험료 기준 표를 보여드리면서 긴급재난 지원금 소득기준 과 제외대상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2] 긴급재난지원금 의료보험 기준 과 대상가구
가구원수에 따라 긴급재난지원금 대상 소득기준과 건강보험료 기준이 정해져 있습니다. 3월 29일 기준으로 세대별 주민등록표상 가구원을 적용해 가구단위로 지급될 예정입니다.
쉽게말해, 세대별 주민등록표에 함께 등재된 사람을 동일가구로 보고, 민법상 가족이 아닌 동거인이 등재되어 있을 경우에는 다른 가구로 인정됩니다. 다만, 가입자의 피부양자로 등록된 배우자와 자녀는 주소지가 다르게 등재되어 있어도 동일가구로 인정됩니다.
예시로 들면, 4인 가족 기준 중위소득으로 본다면 4명의 소득을 다 합쳤을 때 7,124,000원 이하여야 합니다. 또한, 월급을 받고 있는 직장가입자라면, 전부 다 합쳐서 237,652원을 넘지 말아야 합니다.
자영업인 경우 보통 지역가입자로 되어 있는데요, 이 경우는 다 합쳐서 254,909원이 넘지 말아야합니다. 만약 가구 내에 월급 직장가입자와 자영업 지역가입자가 둘다 있다면,
긴급재난지원금 건강보험료 기준 은 표에서 혼합을 봐주시면 됩니다. 이 경우, 242,715원이 넘지 말아야합니다. 아래 긴급재난지원금 대상 건강보험료 기준 사례 예시를 보면서 더 자세히 이해가 되실 겁니다.
[3] 긴급재난지원금 대상 확인방법
월급명세서나 건강보험료 납입고지서 지로 가 없어서 긴급재난지원금 건강보험료 기준 과 비교하기 어렵다면, 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또는 전화 1577-1000번으로 조회가 가능합니다.
홈 - 민원신청 - 상담문의 - 건강보험료 조회하기 - 공인인증서 로그인 (개인)
긴급재난지원금 소득 기준인 소득하위 70% (중위소득 150%) 에 해당되는 가구라도 고액자산가는 긴급재난지원금 제외대상입니다. 또한 긴급재난지원금 건강보험료 기준 은 장기요양보험료는 제외한 의료보험 기준입니다.
이 외에도, 4대 보험 및 전기요금 감면 을 지원 할 예정이며, 코로나19 긴급재난지원금으로 여러가지 도,시,구 에서도 지급하는 정책이 시행되고 있습니다. 살고계시는 구 또는 시 홈페이지에서도 확인하시면 더 정확합니다.
관련 포스팅: 2020/04/09 - [분류 전체보기] - 부산 긴급재난지원금 신청방법
아래는 코로나 취약계층 생계지원 추가대책으로 나왔습니다.